본문 바로가기
전문지식/운동생리학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의 초점

by 운동과 건강 2020. 10. 31.
728x90
반응형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운동생리학은 어떻게 유래되었을까?

 

운동생리학의 유래를 알기 위해서는 머저 미국으로 건나가야 한다. 미국의 운동생리학 역사 대부분은 캔자스 출신의 시골 소년이었던 David Bruce Dill의 업적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처음 악어의 혈액구성을 연구하면서 생리학에 흥미를 가진 이후 1927년 설립된 하버드피로연구소 (Harvard Fatigue Laboratory)의 소장이 되어 운동생리학의 학문적 성장의 모든 것들을 위한 자신의 연구 방향의 초점을 인간에 맞추었다. 그의 연구 업적 중 가장 기억에 남을 만한 것들은 역시 운동, 고온 및 고지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분석한 것이었다. 대표적으로 Dill 박사는 사막 혹은 고지에서 인간이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내성 능력 발휘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했었다. 1927년에서 1947년에 이르기까지 하버드 피로연구소는 운동생리학의 메카가 되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대부분의 세계적 운동 생리학자들의 뿌리를 추적해 보면 하버드 피로연구소에 근거를 두고 있을 정도다.. (이 부분은 다음 운동생리학의 기원에서 자세히 다뤄보겠다.)

David Brucedill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의 초점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은 해부학 및 생리학 으로 부터 유래된 학문이다. 해부학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와 그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게 되며, 생리학은 #신체기능 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생리학에 있어서는 기관, 계통, 조직, 세포 및 세포 내의 분자 등이 어떻게 작용하며 그들의 기능이 신체 #항상성 으로 불리는 신체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기 위해서 어떻게 통합되는지에 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생리학은 인체구조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생리학을 배우기 위해서 해부학은 필수적이다. 더욱이 해부학과 생리학은 생물학, 화학, 물리학 및 다른 기초과학에 의존한다.

운동생리학

스포츠 생리학

 

운동생리학은 운동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의 기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환경은 중요한 자극 요인이기 때문에 환경 생리학은 운동 생리학의 하위 분야로 생겨나게 되었다. 스포츠 생리학은 운동 생리학 개념을 선수들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 과정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운동에 대한 단시간 및 장시간의 반응

 

운동 생리학과 스포츠 생리학은 두 가지 특징적인 운동 패턴과 관련된 개념을 배우는 것을 포함한다.

운동생리학

 

첫째, 운동생리학은 1시간 동안 트레드밀 상에서의 러닝 혹은 들어 올리기 등과 같은 개별적인 운동에 대해서 인체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개별적인 하나의 운동을 단시간 운동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반응을 단시간 반응이라고 한다.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의 또 다른 관점은 장시간 적응 혹은 트레이닝 효과로 간주되는 반복되는 운동에 대해서 인체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우리 인체는 며칠 혹은 몇 주 동안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할 때 적응한다. 생리학적 적응은 운동에 대해서 장시간 노출되거나 트레이닝이 운동능력과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과 함께 나타난다.

 

 

다음 시간에는 운동생리학의 기원에 대해 서술 하겠다.

 

반응형

'전문지식 > 운동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격근과 운동(지근과 속근)  (0) 2020.11.07
근섬유 수축  (0) 2020.11.01
근원섬유  (0) 2020.10.31
근섬유  (0) 2020.10.31
Bioenergetics [열역학]  (0) 2020.0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