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글35

당뇨에 좋은 음식(탄수화물 편) 당뇨에 좋은 음식 당뇨에 좋은음식 이번 포스팅에서는 탄수화물을 다뤄보겠습니다. 당뇨에 좋은 음식 중 우리가 탄수화물에 대해 제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탄수화물을 아예 먹지말아야 할까요? 정확히 얘기하자면, 사람 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차이의 기준은 그 사람의 질병이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비만한 당뇨인 비만한 당뇨인은 칼로리 제한식을 하지만 탄수화물을 많이 먹는 사람은 칼로리보다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당뇨병은 탄수화물(포도당)을 효율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병이다. 따라서 일단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몸에 좋다. 고혈당 때문에 혈도 상하고, 신장도 상하고, 췌장의 인슐린 분비도 타격을 받기 때문에 일단 혈당을 낮춰야 한다. 즉,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 2020. 12. 1.
당뇨수치 기준 완벽정리 당뇨수치 기준 완벽정리 당뇨수치 기준 완벽정리 이번 포스트로 정리하세요. 당뇨수치 기준에 관해 인터넷에 그냥 돌아다니는 정보가 아니고 정확한 정보입니다. 당뇨병은 탄수화물 대사 장애이며 고혈당으로 특징됩니다. 당뇨병은 부적절한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으로부터 발생하죠. 바로 결론부터 말씀드립니다. 그러나 당뇨병을 겪고 있다면, 당뇨를 끝내고 싶다면 글을 끝까지 읽으시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혈당관리(130-180-6.5) 공복혈당: 130mg/dl 식후혈당: 180mg/dl 당화혈색소: 6.5% 이 세가지 당뇨수치 기준을 잘 기억하셔야합니다. 혈당조절 목표는 공복 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 세 가지입니다. 공복혈당 정맥혈 측정 기준 공복혈당은 126mg/dl이상 입니다. 권장 공복혈당은 80~130mg/d.. 2020. 11. 26.
탄수화물이 우리몸에 들어오면 탄수화물이 우리몸에 들어오면? 탄수화물이 우리몸에 들어오면 어떻게 작용할까? 탄수화물은 대체로 단당류(전분), 이당류(자당, 맥아당, 젖당), 단당류(포도당, 과당)의 형태로 섭취된다. 아울러 포도당 중합체와 같은 특별한 탄수화물 혼합체는 운동선수들을 위해 발전되었다. 이러한 탄수화물은 신체에서 유용하게 쓰이기 위해 소화되고 흡수되어 신진대사를 위한 적당한 세포로 옮겨진다. 대부분의 영양소가 흡수되는 위장계의 중요한 부위도 아래 그림에 나타나있다.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소화계는 영양의 통로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입, 인두, 식도, 소장, 대장, 직장, 항문을 포함한 것이다. 소화와 흡수를 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위장관인 위와 장이다. 소화는 소화계에서 음식을 기계적, 화학적으로 분해시켜 흡수할 수 있.. 2020. 11. 26.
ATP-PCr(phosphagen system) 시스템 ATP-PCr(phosphagen system) 시스템 ATP-PCr(phosphagen system) 시스템은 가장 간단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아래 그림에서 보여주고 있다. ATP-PCr(phosphagen system) 시스템은 아주 적은 양의 ATP를 저장하고 있는 것 외에도, 세포는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또 다른 하나의 고에너지 화합물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자를 파스포크레아틴(phsphocreatine) 또는 PCr이라고 부른다(크레아틴 파스페이트라고도 부름). 이 간단한 경로는 ATP 생산을 위해 PCr의 Pi를 ADP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양의 ATP와는 달리, PCr의 분해로 방출되는 에너지는 세포 활동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 .. 2020.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