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노인의 경우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일상생활체력이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당뇨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각종 합병증을 초래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하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요청된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에너지 소비량이 높아 체지방 감소 효과가 크고 심폐지구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동시에, 근육량의 증가에 기인하여 근력과 평형성의 향상이 나타나고 낙상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다양한 장점을 가진 효과적인 운동으로서 체력이 약한 노인에게도 적용 가능한 운동이라고 사료된다.
Methods
1. 연구자
65세 이상 제2형 당뇨병 노인 여성 25명으로 운동 집단에 13명, 그리고 통제 집단에 12명을 무선할당 하였다.
2. 측정항목과 방법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6)의 국민체력 실태조사
(1)악력
(2) 의자앉아일어서기
(3) 2분제자리걷기
(4) 등뒤로손잡기
(5)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6) 눈뜨고외발서기
(7) 8자보행

3. 처치방법
10주간 운동자각도11~13 강도로 주3회 일일 80분간 실시하였다. 1~2주는 5.8 난이도에서 13개 홀드로 기본동작 배우기, 3~6주는 5.8 난이도에서 13개 홀드로 기본동작 익히기, 그리고 7~10주는 5.9 난이도에서 25개 홀드로 운동을 진행하였다.
Results
* 일상생활체력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악력, 의자 앉았다일어서기, 2분제자리걷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눈뜨고외발서기, 그리고 8자보행이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등뒤로손잡기는 통제 집단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Table 2>.
*인슐린 저항성 지표와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복 글루코스에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집단에서 감소되고 통제 집단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공복 인슐린과 HOMA-IR은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통제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Table 3>.
Discussion
1. 일상생활체력의 변화: 제2형 당뇨병 노인 여성의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그리고 협응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어 일상생활체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향상의 이유는 스포츠 클라이밍 동작의 특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인슐린 저항성 지표의 변화: 유의한 변화가 없는 공복 글루코스는 낮은 운동강도와 짧은 운동기간으로 인한 근육량 증가, 글리코겐의 저장능력, 그리고 골격근내 미토콘드리아 수의 향상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은 효과는 있지만 효율이 낮다고 생각한다. 스포츠 클라이밍 동작은 노인들에게는 다소 무리가 있는 동작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운동강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낙상위험의 요소가 많다. 낙상요소를 최소화하더라도 노인들에게는 제한적일수 밖에 없다. 운동군의 일상생활체력과 인슐린 저항성의 유의한 긍정적인 측면이지만, 관련 선행연구에서의 비교는 다소 아쉽다. 수중 유산소운동과 지상 운동의 대한 대상과 운동기간이 다르며, 본 논문과 선행연구의 운동강도 또한 다르다. 결국 본 논문에서 논의한 유산소 운동과 지구성운동의 서로 다른 기전이 혈당과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 점은 맞지만 본 논문의 프로그램과 비교하기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
Applications
본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은 노인도 참여가능한 운동은 분명하나 다소 연령층이 제한적이다. 그러나 기존 복합운동의 단조롭고 지루한 운동에서 벗어나 스포츠 클라이밍의 운동에 대한 흥미, 체력향상, 그리고 높은 참여율을 유도됨으로써 주변에서 흔히 즐길 수 있는 일상 스포츠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전문지식 > 운동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후 다이어트 시기 !! (0) | 2020.01.19 |
---|---|
필라테스의 탄생 (0) | 2019.12.12 |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환자의 폐재활 후 운동능력, 삶의 질, 심폐반응의 일련의 변화 (0) | 2019.12.11 |
운동이 폐경 비만여성의 심혈관요인에 미치는 효과! (0) | 2019.12.10 |
댓글